수강후기가 없어요 :-( 첫번째 수강후기의 주인공이 되세요
DX전략수립과 비즈니스모델 이해부터 물류, 생산, 재고, 설비부문 DX 추진전략 핵심실무
기업의 성패는 단 한장의 비즈니스 모델로 결정됩니다.
빅데이터, AI 등 4차산업혁명 기술을 응용한 새로운 비즈니스 프로세스에서 출발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, 새로운 플랫폼 생태계로 발전하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(DT)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습니다.
본 과정은
첫째, 기존 전통기업에서 디지털 전환기업으로 변화하기 위한 전환모델과 실행을 위한 가이드를 알려드립니다. 이를 통해 디지털 전환을 통한 새로운 NEXT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.
둘째, 기업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(DT) 파도를 넘어서 새로운 환경에서 더욱 성장하기 위해 추구할 비전과 전략의 수립, Transformation을 실행하기 위한 조직 및 의사결정 체계수립, 디지털 역량을 확보하기 위한 인적·지적 자본 확보, 디지털 비즈니스 기회 발굴, 비즈니스모델 재설계를 위한 방법론 등을 알려드립니다.
셋째, 4차 산업혁명 시대의 SCM(공급망관리) 디지털 전환 신기술 및 트렌드를 이해하고, SCM 디지털 전환전략과 전술을 통하여 효율적인 SCM 체계구축 및 성공적인 실행을 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습니다.
넷째, 생산관리를 위한 산업 데이터 수집 및 디지털 트윈의 구축방안과 지능형 생산관리를 위한 데이터 활용방안을 다양한 사례와 접목하여 알려드립니다.
다섯째, 재고/자재관리 기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고, 데이터의 중복과 오류를 해결하고, MRP 시스템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기반을 마련해 드립니다. 이를 통해 수요와 공급의 변동성에 대응하는 노하우를 터득하고, 효과적 재고관리 실행 및 운영 전략능력을 키워드립니다.
마지막으로 설비보전활동의 주요기능과 추진방법, 설비관리의 단계별 추진사례를 통한 자사 설비효율관리의 구축 등 설비의 운전효율방법을 알려드립니다. 고장이 없는 설비기술을 구현함으로써 일상의 보전활동을 한 단계 레벨업하여 설비에 강한 보전능력을 갖춘 오퍼레이터(Operator)로 거듭나 보시기 바랍니다.
1. 경영혁신 및 경영기획 실무자 및 관리자
2. 디지털 전환을 준비하는 실무자 및 관리자
3. 새로운 비즈니스 기획, 모델링 실무자 및 관리자
4. 물류·SCM·ERP, MRP, 전산(경영정보) 관련 실무자 및 관리자
5. 제조혁신 및 디지털전환 추진 임원 및 실무자
6. 생산계획, 자재·창고·공급망관리, 구매관련 부서 실무자 및 관리자
7. 설비관리, 설비설계, 생산기술 엔지니어
8. TPM 부서 실무자 및 관리자
9. 생산현장 설비 오퍼레이터, 작업자 및 관리감독자
1. 디지털 전환 사례와 벤치마킹을 통해 모델분석을 이해할 수 있다..
2. 디지털 전환을 통한 디지털 전략과제 도출과 로드맵 프로세스를 파악할 수 있다.
3. DX 비즈니스 모델 유형별 전략화 프로세스를 파악할 수 있다.
4. 성공적인 SCM 체계구축의 핵심인 S&OP(Sales and Operations Planning) 프로세스를 파악할 수 있다.
5. 국내외 SCM 혁신사례 연구를 통한 벤치마킹 포인트를 발굴할 수 있다.
6. 제조업 디지털 전환 트렌드를 이해하고, 디지털 신기술을 파악할 수 있다.
7. 데이터 기반 생산관리 혁신전략과 추진 프로세스를 파악할 수 있다.
8. 재고관리를 위한 주요 기법인 재고분석(ABC, 유동수), MRP, JIT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.
9. ICT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전환, 재고 최적화 및 가시화 방법을 파악할 수 있다.
10. ICT를 활용한 설비 예지보전 원리를 이해하여 활용할 수 있다.
11. 설비트러블을 빠르고, 정확하게 해결하기 위한 분석방법과 데이터 활용법을 파악할 수 있다.
차시 | 내용 |
---|---|
1차시 | 디지털 전환(DX)의 의미와 영향력 |
2차시 | 디지털 전환(DX) 요소 기술 활용을 위한 프로세스 |
3차시 | 디지털 전환(DX) 사례별 성공·실패 요인 분석 |
4차시 | 디지털 전환(DX) 프로세스와 전략 |
5차시 | 디지털 전환(DX) 전략 비전, 과제, 로드맵 도출 |
6차시 | 디지털 전환(DX) 성공을 위한 전략 수립 |
7차시 | 비즈니스모델의 이해 및 프로세스 |
8차시 | 디지털 전환(DX) 비즈니스모델의 전략화 |
9차시 | 제조업 디지털 전환 트렌드 |
10차시 | 생산데이터 수집 및 활용 |
11차시 | 생산관리 시스템 고도화 방안 |
12차시 | 공급망 연결의 디지털 생산관리 혁신과 사례 |
13차시 | 제조업 디지털 전환 트렌드 |
14차시 | 생산데이터 수집 및 활용 |
15차시 | 생산관리 시스템 고도화 방안 |
16차시 | 공급망 연결의 디지털 생산관리 혁신과 사례 |
17차시 | 재고관리와 디지털 전환(DX) |
18차시 | 자재소요계획(MRP) 이해 |
19차시 | 연속보충 방식과 최적화 |
20차시 | ICT를 활용한 재고 최적화와 가시화 |
21차시 | 설비관리와 디지털 전환(DX) |
22차시 | ICT를 활용한 예방보전 |
23차시 | 예지보전을 위한 이상징후 감지로직 |
24차시 | 진동센서 활용과 예지보전 사례 |
수료기준 | ||||
---|---|---|---|---|
총 진도율 | 중간평가 | 최종평가 | 과제 | |
80% 이상 | - | 평가비율 100% 반영 | - | |
반영된 평가 합산 60점 이상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