수강후기가 없어요 :-( 첫번째 수강후기의 주인공이 되세요
국가 경쟁력 향상과 개인의 직업 선택을 지원하는 직업상담사 2급 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육 과정입니다.
최근 변화하는 노동 시장과 청년실업, 중·고령자의 재진입 등 다양한 사회적 이슈에 맞춰, 직업 선택과 전직을 돕는 전문 인력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.
이 과정은 그러한 전문 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필요한 이론과 실무 지식을 체계적으로 제공하여, 여러분이 직업상담사로서의 역할을 완벽하게 준비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.
직업상담사 2급 자격증 취득을 원하는 학습자
직업상담사에 대한 이론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.
직업상담사 관련 용어를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다.
직업상담사 2급 자격 취득을 위하여 이론을 이해할 수 있다.
| 차시 | 내용 |
|---|---|
| 1차시 | 제1장 진로발달이론 (01. 특성-요인이론 ~ 02. 홀랜드의 직업선택이론) |
| 2차시 | 제1장 진로발달이론 (03. 데이비스와 롭퀴스트의 직업적응이론 ~ 04. 긴즈버그의 진로발달이론) |
| 3차시 | 제1장 진로발달이론 (05. 수퍼의 진로발달이론 ~ 06. 고트프레드슨의 직업포부발달이론) |
| 4차시 | 제1장 진로발달이론 (07. 로의 욕구이론) |
| 5차시 | 제2장 직업상담진단 (01. 직업심리검사 1) |
| 6차시 | 제2장 직업상담진단 (01. 직업심리검사 2) |
| 7차시 | 제2장 직업상담진단 (01. 직업심리검사 3) |
| 8차시 | 제2장 직업상담진단 (02. 진단 1) |
| 9차시 | 제2장 직업상담진단 (02. 진단 2) |
| 10차시 | 제2장 직업상담진단 (02. 진단 3) |
| 11차시 | 제2장 직업상담진단 (02. 진단 4 ~ 03. 진단결과 해석) |
| 12차시 | 제3장 직업과 스트레스 (01. 스트레스의 이해 ~ 03. 스트레스의 결과 및 예방) |
| 13차시 | 제4장 직업상담 초기면담 (01. 초기면담의 의의 ~ 02. 친밀교감 형성) |
| 14차시 | 제4장 직업상담 초기면담 (03. 내담자 호소 논점 파악) |
| 15차시 | 제4장 직업상담 초기면담 (04. 구조화 1) |
| 16차시 | 제4장 직업상담 초기면담 (04. 구조화 2 ~ 05. 상담전략 수립 1) |
| 17차시 | 제4장 직업상담 초기면담 (05. 상담전략 수립 2) |
| 18차시 | 제4장 직업상담 초기면담 (05. 상담전략 수립 3 ~ 06. 초기면담 종결) |
| 19차시 | 제1장 기초상담이론 (01. 아들러의 개인주의 상담) |
| 20차시 | 제1장 기초상담이론 (02. 칼 로저스의 내담자 중심 상담) |
| 21차시 | 제1장 기초상담이론 (03. 엘리스의 인지ㆍ정서ㆍ행동적 상담 ~ 04. 벡의 인지치료) |
| 22차시 | 제2장 직업상담이론 (01. 윌리암슨의 특성-요인 직업상담) |
| 23차시 | 제2장 직업상담이론 (02. 칼 로저스의 내담자 중심 직업상담 ~ 04. 크라이티스의 포괄적 직업상담) |
| 24차시 | 제3장 진로상담 (01. 진로논점 ~ 02. 직업정보 탐색) |
| 25차시 | 제3장 진로상담 (03. 진로계획 지원 ~ 04. 진로계획 실행 지원) |
| 26차시 | 제4장 취업상담 (01. 내담자 구직역량 파악 ~ 02. 취업목표 설정 1) |
| 27차시 | 제4장 취업상담 (02. 취업목표 설정 2 ~ 05. 내담자 사후관리) |
| 28차시 | 제5장 직업복귀상담 (01. 직업복귀 동기 파악 ~ 02. 직업복귀 목표 설정 1) |
| 29차시 | 제5장 직업복귀상담 (02. 직업복귀 목표 설정 2 ~ 03. 직업복귀 지원 1) |
| 30차시 | 제5장 직업복귀상담 (03. 직업복귀 지원 2 ~ 04. 활동계획 평가 및 사후관리) |
| 31차시 | 제6장 직업훈련 상담 (01. 내담자 직무역량 파악 ~ 04. 훈련목표 달성 촉진) |
| 32차시 | 제7장 집단상담 프로그램 운영 (01. 대상자 특성 파악 1) |
| 33차시 | 제7장 집단상담 프로그램 운영 (01. 대상자 특성 파악 2 ~ 02.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) |
| 34차시 | 제7장 집단상담 프로그램 운영 (03. 집단상담 프로그램 실시 ~ 04. 집단상담 프로그램 평가 및 사후관리) |
| 35차시 | 제8장 직업상담 협업 및 행정 (01. 협업체계 구축 및 운영 1) |
| 36차시 | 제8장 직업상담 협업 및 행정 (01. 협업체계 구축 및 운영 2 ~ 직업상담 행정 1) |
| 37차시 | 제8장 직업상담 협업 및 행정 (02.직업상담 행정 2) ~ 제9장 취업지원행사운영(01. 행사운영) |
| 38차시 | 제1장 노동시장의 이해 (01. 노동의 수요 1) |
| 39차시 | 제1장 노동시장의 이해 (01. 노동의 수요 2) |
| 40차시 | 제1장 노동시장의 이해 (01. 노동수요 3) |
| 41차시 | 제1장 노동시장의 이해 (01. 노동수요 4) |
| 42차시 | 제1장 노동시장의 이해 (02. 노동공급) |
| 43차시 | 제1장 노동시장의 이해 (03. 노동시장의 균형과 유연성 ~ 04. 노동시장의 구조) |
| 44차시 | 제2장 임금의 제개념 (01. 임금의 개요) |
| 45차시 | 제2장 임금의 제개념 (02. 임금의 결정 ~ 03. 최저임금제도) |
| 46차시 | 제2장 임금의 제개념 (04. 임금체계와 임금형태) |
| 47차시 | 제2장 임금의 제개념 (05. 임금격차 1) |
| 48차시 | 제2장 임금의 제개념 (05. 임금격차 2) |
| 49차시 | 제3장 실업의 제개념 (01. 실업의 유형과 이론 1) |
| 50차시 | 제3장 실업의 제개념 (01. 실업의 유형과 이론 2 ~ 02. 실업의 대책) |
| 수료기준 | ||||
|---|---|---|---|---|
| 총 진도율 | 중간평가 | 최종평가 | 과제 | |
| 80% 이상 | 평가비율 20% 반영 | 평가비율 80% 반영 | - | |
| 반영된 평가 합산 60점 이상 | ||||